컬러 프로파일 조정&모니터 조정
사진은 클릭하면 커진당
1. 모니터와 작업화면 컬러값 동일하게 하기 (프로파일 설정)
바탕 화면 우클릭 -> 화면 해상도
고급 설정 클릭
색관리 탭 들어가서 색관리 클릭
sRGB 가상 장치 모델 프로필을 '기본 프로필로 설정'
sRGB가 목록에 없으면 추가 버튼 클릭
(언니는 프로파일에서 캘리브레이터 소프트웨어+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내에서 추가로 색보정을 했기땜에
sRGB display profile with ~ from calibration 이라는 프로파일이 새로 생성되서 디폴트로 설정되어있당)
추가 버튼 누르면 프로파일 목록이 뜨는데 sRGB 가상 장치 모델 프로필 클릭 후 확인 -> 기본 프로필로 설정 후 확인
여기까지는 모니터에 출력되는 기본 시스템 프로파일을 바꾼 거야 ^~^
이제 포토샵으로 넘어가서
한글판은 메뉴명이 어떤 지 모르겠는데, 영문판은 View -> Proof Setup에 들어가면 프로파일 선택이 가능해
여기서 Monitor RGB 클릭
이러면 윈도우 상에서 지정한 프로파일과 포토샵에서 보이는 프로파일이 같은 프로파일이 되면서
같은 색상값을 표현하게 돼 ^~^
프로파일에 대해 좀 더 설명을 붙이자면, 색 팔레트같은 개념인데 프로파일 별로 표현 가능한 색상 수가 달라
색상값이 많은 프로파일일 수록 원본 그림과 사진의 색의 재현율이 높겠지!
인터넷 웹 브라우저랑 보편적인 모니터에서 표준 값이 sRGB (아마 색재현률 72%인가 그럴 걸) 인데
포토샵은 표현 가능한 색상값이 더 넓다능..... 그리고 포토샵은 그래픽 편집툴 답게 용도별로 프로파일 설정해서 그림 보는게 가능해
Proof Setup 란에서 CMYK 선택하면 CMYK 색상값으로 보이겠지!
Custom을 선택하면 쓸 수 있는 프로파일 목록이 더 많아
그 중에 눈여겨 볼 만한게 Adobe RGB 라는 건데, 이건 어도비에서 만든 RGB 표준값!
일반적인 sRGB보다 색상값이 더 많아서 더 풍부한 색 표현이 가능해
색 재현율때문에 특히 인쇄용 작업을 할 때, 많이들 쓰는 프로파일이고, 작업자 입장에서도 색상 표현이 광범위하니까 더 풍부한 색을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^~^
단점으로는 그래픽용 고급형 모니터를 제외하고는 sRGB까지만 컬러값이 지원되어서
일반적인 모니터나 인터넷 웹브라우저에서 봤을 때는 색 구현이 100% 되지는 않는다는 거
놀라운 sRGB와 Adobe RGB의 차이
사진 출처 : http://blog.naver.com/photochromy/40151782286
Adobe RGB로 사진 촬영 후, sRGB로 변환하여 저장
sRGB로 촬영 후 그대로 저장
이 사진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CG를 하는 사람들도 다채로운 팔레트를 이용하여 작업한 후에
색 손실을 최대한 줄여서 저장하면 풍부한 색상을 쓴 작업물을 보여줄 수 있다는 거!
정리하자면 인쇄용 작업 혹은 고해상도 작업물 처럼 다채로운 색상을 표현이 목적 = Adobe RGB
주 작업이 인터넷 웹브라우저나 컴퓨터 상에서만 보는 직업이라 웹 표준에만 맞추는 것 = sRGB
주로 사진 작업하는 사람들이 Adobe RGB 선호하고 CG 작업해서 웹상 그림을 위주로 하는 사람들은 sRGB로도 만족하드라
언니는 이번에 듀얼모니터 구성하면서 바꾼 새 모니터는 모니터 자체에서 Adobe RGB 지원되어서 이걸로 설정해놨엉
전체적으로 색상 표현값들이 많아져서 화사해지고 다채로워지니까 좋드라 ^~^bb 나만 만족하는 거겠지만!
혹시 Adobe RGB로 작업할 거라면 저장할 때는 (또는 CMYK 같은 다른 프로파일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해야할 일)
2. 웹 표준 칼라로 저장하기
이건 일반적인 저장 옵션
ICC 프로파일 체크해서 sRGB로 변환해서 저장하게 해주기
이건 쉬프트+컨트롤+알트+S 눌러서 나오는 Save for Web 화면
Convert to sRGB 체크
3. 새 캔버스 작업시 기본 프로파일 설정하기
칼라세팅 메뉴로 들어가서
Working Spaces에서 sRGB 지정하고 확인
이러면 매번 프로파일 지정하지않아도 sRGB로 새 캔버스가 생성돼 ^~^
4. 색 손실 최대한 줄이면서 저장하기
이건 CMYK 같은 인쇄용 작업 등, 전혀 다른 색상값을 써야할 때, 쓸만한 팁
이 메뉴로 들어가서
프리뷰 체크하면 미리보기도 가능하고
이 컨버팅 메뉴로 컨버팅하면 색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
예시 이미지는 색상이 많은 우타프리 올스타 한정판 패키지
(정확히는 sRGB보다 더 색상 재현률이 높은 Adobe RGB)
형광 색상을 제외하면 큰 손실이 없음
번외. 캘리브레이션/스파이더 안 사고 모니터 보정
캘리브레이션 사기에는 부담이 되지만 색에 민감한 그대에게 바치는 보정 팁
먼저 준비해야할 것은 초저녁~저녁 때, 햇빛으로 인한 빛반사나 자연광/채광이 없을 때여야 한다는 거
불가피 할 경우는 모니터 주변에 후드나 천을 씌워서 빛을 차단해서 조절해야한다능!
디스플레이 -> 색 보정 클릭
안내 문구를 따라서 적절하게 자기 환경에 맞게 설정을 해야하는데
감마를 조정한 후에는
밝기와 콘트라스트 조절 할 때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
출처 : http://www.datacolor.kr
이 이미지를 "포토샵으로 불러 들여서"
이미지에 써있는 설명을 참고하여 조절을 해야혀
여기까지는 밝기, 콘트라스트 조절이구
혹시 모니터에 누런빛이 더 끼어있는 것 같다, 푸른 빛이 더 끼어있는 것 같다처럼
아예 중성 그레이톤 표현이 안 될 경우에는
(프리웨어)
이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색상별로 감마 조정이 가능하니 이런 수단을 쓰거나
혹은 그래픽 드라이버 설정 들어가서 조절을 하면 돼 ^~^
정확한 색상을 찾는데에는 오리지널에 가깝게 나온 인화된 사진이나 그림을 기준으로 치면 되는데
전문 캘리 기계로 잡는게 아닌 본인 눈으로 잡는 거라서 정확하지는 않아도 근사값에 나올 수는 있을 거야 ^~^